시야를 결정짓는 천장 디자인

ES. Ko ES. Ko
인천 검암동 주택, (주)건축사사무소 아뜰리에십칠 (주)건축사사무소 아뜰리에십칠 Modern living room
Loading admin actions …

집의 천장은 공간의 높이와 모양새를 가장 크게 결정짓는다. 천장의 높낮이에 따라 인테리어의 스타일과 들어와야 할 가구의 특성은 크게 바뀐다. 거주지가 주택인지 도심형 아파트인지에 따라서도 천장의 모습은 사뭇 다르다. 주택은 도심보다 천장의 디자인에 대한 가능성이 여러 가지가 있다. 단층 이상의 주택은 거실의 천장 같은 경우, 다른 층과 통합하여 높은 천장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한 층 안에서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도심의 아파트는 대체로 규격화된 설계 때문에, 천장을 바꿀 수 있는 여지가 적다. 보통은 주택보다 낮은 천장을 소유하고 있는데, 그러할 경우 변화를 줄 수 있는 부분은 천장의 재질이나 조명이다. 공간을 반사하는 재질의 천장은, 설령 천장의 높이가 낮을지라도 다른 공간을 거울처럼 반사하는 재질의 특성상 공간을 넓어 보이게 만든다. 천장의 빛깔 또한 실내의 아늑함과 전체적인 콘셉트를 조정한다. 어두운 천장을 가진 집은 외부와는 구분된 실내만의 아늑한 특성을 확실하게 부각하여 드러낼 수 있고, 실내조명에 의해 공간 구획이 확실하게 가능해진다. 천장과 벽의 이음새는 집에서 천장이 실내장식으로써 차지하는 위치를 보여준다. 벽과 연결되어 같은 소재로 만들어진 천장은, 좀 더 적극적으로 집 전체의 분위기에 관여하는 인테리어이고, 장식이 많은 벽과 바닥 위의 가구와 분리되어, 미니멀한 형태를 유지하는 천장도 있기 마련이다. 거주하기 위한 실내이기 때문에 천장은 불가피한 요소이자, 필수적인 단위이다. 천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거주자의 시야를 넓히는 인테리어에 대해 알아보자.

높이를 달리한 천장 디자인

복도와 거실 공간을 천장의 높이 차이로 구획 지었다. 주택의 특성상 천장의 높이를 설계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게 구상할 수 있다. 야외의 전경을 마주한 공간은 쓰임이 있는 열린 방 공간과 다른 공간으로 가기 위한 복도의 공간으로 나뉘었다. 하지만 바닥과 벽, 인테리어는 같은 스타일로 유지되어 있어서 어디까지가 복도이고 방인지 불분명한 상태이다. 그 차이가 천장으로 인해 분명하게 드러난다. 방에 해당하는 공간은 높은 천장을 소유하여 기하학 형태의 가벼운 소재로, 현대적인 샹들리에가 설치되었다. 반면에 복도로 구획된 공간부터는 낮은 천장의 모습을 보이며, 자연스럽게 두 공간 사이의 밝기차이가 생기었고, 작은 조명이 천장에 달려있다. 야외를 향한 전면 문을 동시에 소유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다른 공간으로써 인식되고 있다.

소재를 달리한 천장 디자인

천장의 역할이 인테리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주택의 천장은 지붕 모양을 가지고 있는데, 그 지붕 모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지붕 모양으로 자리잡은 다이닝 룸의 중심 공간을 원목의 소재로 구성하였다. 층을 달리한 천장 사이로 창문을 내어 자연광이 다이닝 룸에 내리쬘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고, 광택이 없는 자연스러운 나무 소재에 벽화를 그려서 공간에 컨츄리한 다정함과 아늑함을 부여하였다. 나무 천장과 수직으로 마주치는 바닥의 부분엔 선으로 아름답게 묘사한 바닥 드로잉이 그려져 있어서 천장의 꽃과 세트를 이루며 공간에 통일감을 만들어내고 있고, 벽의 손을 형상화한 추상화와 함께 공간은 예술적으로 묘사되었다. 반면에 가운데 포인트가 되는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천장은 중립적인 느낌의 깔끔한 화이트톤으로 정리되었다.

나무 천장이 가지는 장점

천장이 낮고 아담한 주택공간이다. 천장과 바닥이 더욱 가까워 보이는 이유는 천장의 소재가 나무이기 때문이다. 하얀 벽을 건물 사이에 두고 샌드위치처럼 끼워진 양쪽 빵을 연상시키는 위아래의 목재는, 의도적으로 집을 위로 아래로 누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담담히 열려있는 창문 밖의 풍경과 통유리 창으로 이루어진 마당으로 나가는 길 사이에 섬처럼 놓인 집은, 오히려 그로 인해서 아늑함을 가지게 되었다. 하얀 천장이 아닌 나무 천장이 가지는 장점은 공간 전체에 야외와 확실히 구분되는 그늘과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다채로운 야외의 날씨와 상관없이 늘 같은 느낌의 둥지 같은 집을 소유했다는 기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명의 역할을 더욱 크게 하는 것도 색감이 있는 천장이 줄 수 있는 효과이다.

집의 기울어진 경사면을 잘 활용한 천장

다양한 천장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집의 한 단면이다. 거실은 경사진 천장으로 만들어져 실내 안에서도 집 모양을 잘 인식할 수 있는 디자인이 완성되었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자연광이 퍼져 밝은 채광이 들어올 수 있는 거실 공간을 만들었다. 반면에 주방으로 들어오는 공간은 낮은 천장으로 만들었다. 방과 일치되는 낮은 천장의 주방 공간은 거실과 밝기를 달리하는 실내를 만들어서, 야외의 풍경과 멀어질수록 차차 좀 더 자연과 거리를 둔 사람이 머무는 공간이자, 사적인 공간이라는 암시를 만들었다. 그에 따라, 밝은 낮임에도 불구하고 주방을 비추는 실내 조명은, 공간에 인공미를 드러내며 주방 바닥을 다른 색감으로 비춘다.

전통 주택의 천장

금송건축의 천장이다. 집의 구조이자 뼈대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천장은,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인테리어 효과가 있다. 나무의 뼈대와 집을 건축함에 있어 결정적인 골격이 드러나 있어, 실내에 머무는 거주자는 다만 편안하게 집에 머물러 있음을 떠나서, 집의 벽과 천장이 버티고 있고, 구조가 만들어진 필연적인 수고에 대해서 늘 살면서 직접 보게된다. 사유하는 공간으로써의 집이다. 그늘지고 구조가 많은 공간의 특성상 실내 공간은 어둡다. 군데군데 빛을 뿜는 조명을 달아서 갈색의 부드러운 어둠 사이에 빛을 집어넣었다.

다양한 소재로 인테리어된 공간과 천장

전체적인 방의 인테리어에 천장이라는 구분 없이 자연스럽게 녹아든 천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나무와 벽돌, 그리고 화이트 톤 소재의 인테리어가 주가 되는 공간은 서재이자 회의실로 사용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창문 쪽의 벽과 이어지는 나무 소재의 천장은 벽돌의 미색과 어우러져, 벽 디자인의 연장 선상으로 보인다. 낮은 천장은 책장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서 한 공간 안에서 여러 색감을 가진 공간을 만들어내었다. 책장의 높낮이와, 긴 실내공간 다양한 조명의 설치와 어우러져, 적극적으로 공간 구성 요소로서 자리 잡은 천장 디자인이다.

제2의 공간을 만들어낸 천장 디자인

이 층으로 올라가는 천장 공간을 좁게 큐브 형태로 구획 지어 높은 천장으로 분리한 천장 디자인이다. 단순한 천장의 모습과는 다른 효과를 보이고 있다. 우선 천장에 직접적인 기능 없이 높낮이 차이를 둠으로써 한 공간 안에 다채로운 빛과 그림자가 생겼다. 그리고 구조상 다이닝 룸 위로 2층의 복도를 올려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가족 구성원이 작은 네모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소통할 수 있게 되어, 창문과도 같은 통로를 천장 디자인을 통해서 만들었다. 다이닝 룸의 의자 윗부분으로 넓은 천장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밝은 곳에 앉아있고자 하면 선택적으로 공간의 밝은 부분에 앉을 수 있다. 비록 좁은 부분에 천장이 높게 형성되었지만, 그 높이의 가능성이 실내 공간에서 드러남으로 인해, 낮은 천장을 가진 답답한 공간의 이미지에서 벗어났다.

광택이 있는 천장

침실의 천장이다. 광택이 강한 소재를 천장으로 만들어 침실의 실내 공간이 추상적으로 반사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침대 뒷벽의 화려한 장식과 엘레강스한 침대 디자인은 인공적이면서도 우아한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천장은 단순한 화이트 톤으로 디자인하되 반사할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에, 그 자체가 장식적인 효과가 있기보다는 기존의 침실이 소유한, 침대 근처의 화려한 인테리어를 돋보이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양한 구조의 주택 천장

건축의 웅장함을 실내에서도 느낄 수 있는 주택의 실내이다. 천장이 주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집의 지붕과 천장을 받치는 구조를 숨기지 않고, 그대로 실내 건축에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주방의 천장은 벌집 구조로 만들고 통유리 바닥을 위에 까는 형태로 디자인함으로써, 현대적이면서도 실험적인 공간을 완성했다. 천장이 동시에 2층의 바닥이 되는 것도 이 주택이 가진 흥미로운 부분이다. 현대적인 디자인의 주방 가구들과 화이트 톤의 유기적인 구조가 돋보이는 거실 가구와 함께, 다소 복잡할 수 있는 철근과 기둥을 가진 천장은 현대적인 이미지로 집의 한 구성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화이트 톤으로 천장 구조를 유지하여, 보기에 부담이 없는 색감으로 천장을 통일시켰다.

숲에 들어와 있는 듯한 천장과 벽의 질감

크게 열려있는 창문 구조를 가진 평화로운 공간이다. 사슴뿔 머리 장식이 공간의 지표처럼 집의 한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고, 바깥으로 보이는 나무와 물의 풍경은 집의 한가운데를 차지하며, 집에서 받는 인상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정적이면서도 자연 친화적인 공간은 무늬가 자연스러운 점박이 형태의 천장과 벽을 가지고 있는데, 분리되지 않은 천장과 벽의 질감은 마치 자연재료로 만든 텐트처럼, 공간에 편안함을 선사한다. 또한, 넓은 천장을 소유한 공간은 벽이나 다른 장치 없이 자연스럽게 용도에 따라 여기저기 가구가 놓인 모습을 보여, 편안하고 탁 트인 시야와 일치되는 라이프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Need help with your home project?
Get in touch!

Highlights from our magazine